목요일, 3월 30, 2023
Home재테크금융투자소득세 국내외 주식 세율

금융투자소득세 국내외 주식 세율

금융투자소득세 국내외 주식 세율을 알려드립니다.

금융투자소득세가 2023년부터 실시됩니다.

요즘은 젊은 20대에서도 많은 분들이 주식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주식투자를 하시는 분들이라면 각종 세금과 수수료 등을 어떻게 조금이라도 줄일 수 있을까 고민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특히 2023년부터는 금융투자소득세까지 부담하게 되면서 꼭 계획을 세우고 투자하셔야 합니다.

오늘은 금융투자소득세와 함께 금융투자 소득세율과 계산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함께 읽으면 도움이 되는 글

금융투자소득세란?

컴퓨터 주식거래

금융투자소득세란 펀드, 채권, 주식, ETF, ETN 등에 투자하는 하시는 분들 대상으로 양도차익에 대한 세금을 말합니다. 현재는 ‘금융소득’이라는 항목으로 ‘종합소득 과세’로 시행되고 있습니다.

2023년부터는 매매차익이 항목이 추가되어 금융소득이 아닌 ‘금융투자소득세’로 변경되어 시행될 예정입니다.


금융소득과 금융투자소득세 비교

현재 금융소득은 예적금에서 받는 이자는 이자 소득으로 국내 주식 및 해외 주식에 대한 매매차익은 양도소득으로 분류됩니다.

펀드 매매차익은 비과세로 분류되며, 펀드 배당금 및 ELS 수익의 경우 배당소득으로 분류됩니다.

예금/적금 이자 이자소득
주식 국내 매매차익 양도소득(대주주)비과세(소액주주)
배당금 배당소득
해외 매매차익 양도소득
배당금 배당소득
펀드 매매차익 매매차익 비과세
배당금 배당금 배당소득
ELS 수익 수익

>>기획재정부 바로가기


달라지는 금융투자소득세

2023년부터 시행되는 금융투자소득세는 아래와 같이 달라집니다.

예금/적금 이자 이자소득
주식 국내 매매차익 금융투자소득
배당금 배당소득
해외 매매차익 금융투자소득
배당금 배당소득
펀드 매매차익 매매차익 금융투자소득
배당금 배당금
ELS 수익 수익

국내 및 해외 주식의 매매차익은 기존 양도 소득에서 금융투자소득으로 변경되며 또한, ELS 및 펀드에서 발생하는 배당금, 매매차익 등의 소득은 금융투자소득으로 분류됩니다.

배당금(분배금)은 배당소득으로 인정되어 지금과 동일한 방식으로 분류되게 됩니다.

주식 및 채권의 양도소득, 펀드 투자 소득 등 기존에 비과세였던 상품들은 금융투자 소득으로 분류될 예정입니다.


금융투자소득세율

금융투자소득세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과세표준 세율(%) 지방소득세(%) 총 세율(%)
3억원 이하 20 2% 22%
3억원 초과 25 2.5% 27.5%

과세표준은 3억 원을 기준으로 세율이 달라지며 3억 원 이하는 20%, 초과 금액은 25% 세율이 적용됩니다.


국내외 주식 투자 과세율

국내 및 해외 주식 투자 시 세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국내주식]

국내주식투자시
연간 매매차익 5000만원 이하 변동 없음
연간 매매차익 5000만원 초과 불리함

현재 국내 주식 투자자들중 대주주에게만 양도소득세가 부과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2023년부터는 모든 주식투자자들에게 양도소득에 대한 과세가 부과됩니다.

단 지금과 동일하게 연간 매매차익이 5천만 원 이하인 경우에는 동일하게 과세되지 않습니다. 

[해외주식]

해외주식투자시
연간 매매차익 250만원 이하 변동 없음
연간 매매차익 250만원 ~ 3억원 불리함
연간 매매차익 3억원 초과 불리함

해외주식은 연간 매매차익이 250만 원 이하인 경우는 기본 공제되며 250만 원을 초과시에는 지방 소득세를 포함하여 총 22%의 양도소득세가 부과됩니다.(기존과 동일)

단 2023년부터 3억 원을 초과분에 대해서는 기존 20% -> 25%로 ‘5%’ 추가 과세됩니다.


달라지는 증권거래세율

증권거래세는 주식을 매도할 때 발생되는 세금으로 원천징수가 원칙입니다.

증권거래세 2022년 까지 2023년 부터
코스피 0.23% 0.15%
코스닥 0.23% 0.15%

금융투자소득세가 시행되면 증권거래세는 현행 0.23% 에서 0.15%로 변경될 예정입니다.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 Advertisment -
- Advertisment -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