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요일, 3월 30, 2023
Home헬스&푸드다른 사람보다 유난히 추위를 잘 타는 이유

다른 사람보다 유난히 추위를 잘 타는 이유

유난히 추위를 많이 탄다면 꼭 확인하세요!

남들보다 추위를 잘 타는 이유 무엇일까요?

우리 몸은 건강한 면역체계를 위해 일정량의 체온을 유지하려고 하는데요. 그래서 추위를 느끼면 무의식적으로 몸을 움츠리고, 더워지면 땀 배출로 체온을 유지하게 됩니다.

그런데 특별한 이유없이 유난히 추위를 많이 타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오늘은 추위를 많이 타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함께 읽으면 도움이 되는 글

추위를 잘 타는 이유

추위에 떠는 사람

추위를 느끼는 것 자체는 신체를 보호하기 위한 정상적인 반응이지만, 몸살이나 기침, 가래, 배탈 등 염증성 질환이 없는데도 과도하게 추위를 느끼는 경우 특정 질환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추위를 일으키는 질환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갑상선기능저하증

추위를 잘 타는 이유 중 하나는 갑상선기능저하증 때문일 수 있습니다.

갑상선기능저하증이란 갑상선에서 갑상선 호르몬이 잘 생성되지 않아 몸속의 갑상선 호르몬 농도가 떨어지거나 결핍된 상태를 말합니다.

갑상선 호르몬은 세포 내 물질대사를 촉진하고 뇌의 활동성을 강화하며, 신체 총대사량을 증가시켜 체온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이 때문에 갑상선기능저하증의 주된 증상 가운데 하나가 추위를 많이 타는 것입니다.

우리 몸의 대사를 정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갑상선호르몬이 꼭 필요하기 때문에 갑상선기능저하증이 있는 경우 반드시 갑상선호르몬을 보충하는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동맥경화증

동맥은 심장에서 신체 곳곳으로 피를 보내주는 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 동맥혈관의 가장 안쪽을 덮고 있는 내막에 고밀도지단백(HDL) 콜레스테롤 등이 쌓이고 내피세포가 두꺼워지면 혈관이 좁아지는 ‘동맥경화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동맥경화증이 발생하면 말초혈관으로 가는 혈액량이 줄어들면서 손이나 발이 차가워지는 수족냉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손보다 심장에서 먼 발쪽이 차가워지는 경우가 많고 특히 한쪽 발만 차갑다고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초기에는 발이 시리고 걷거나 계단을 오를 때 종아리 통증이 나타나다가 어느 정도 진행되면 발가락이 검게 변하면서 통증이 생기는 경우도 있으므로 반드시 치료해야 합니다.

하지정맥류

하지정맥류는 다리의 혈액순환 제대로 되지 않아 발생하는 질환으로 다리가 쉽게 피곤해지고 다리가 차다는 느낌과 함께 통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오래 서 있거나 의자에 앉아 있으면 증상이 더 심해질 수 있고, 특히 이른 새벽에 시린 느낌이 반복될 때가 많습니다.

다리는 서거나 앉을 때 중력의 영향을 많이 받는 부위이기 때문에 다리로 내려온 혈액이 심장으로 거슬러 올라갈 때 역류되기 쉽습니다.

이를 막아주는 것이 정맥 내 위치한 판막으로, 오랫동안 서 있거나 앉아 있는 습관이나 노화‧비만‧운동부족 등 혈액순환 장애가 계속되면 판막이 망가지면서 혈액이 역류하고, 하지정맥류가 발생합니다.

하지정맥류는 심하지 않다면 평상시 누워서 다리를 심장보다 높게 올리고 있으면 증상이 완화되고 붓기도 빠지지만 증상이 악화된 경우에는 환자의 증상과 병의 경중에 따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당뇨병

당뇨병 환자들은 피부와 근육의 감각을 담당하는 말초신경이 손상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말초신경병증이 발생하면 보통 다리쪽 혈류장애가 발생하면서 정상인보다 발이 차갑거나 저리고 시린 증상이 지속됩니다.

또 통증을 쉽게 느끼지 못하기 때문에 상처가 발생해도 뒤늦게 알아차려 치료시기를 놓치고 ‘당뇨병성 족부궤양(당뇨족)’으로 악화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당뇨족이 점차 진행되면 발의 특정부위에 굳은살이 생기고 가벼운 외상에도 상처나 물집 등이 자주 발생하며 회복도 더디게 됩니다.

그 이유는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에 세균에 대한 저항력이 크게 떨어져 상처를 통한 세균감염이 쉽게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도움이 되는 정보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 Advertisment -
- Advertisment -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