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비안 관련주 수혜주 대장주
테슬라에 필적할 미국 전기차 스타트업 ‘리비안(RIVIAN)’이 미국 뉴욕 증시에 상장한다는 소식에 국내 리비안 관련주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리비안은 아마존이 7억달러를 투자해 ‘아마존 전기차’라고도 불리고 있습니다.
리비안(RIVIAN)은 2021년 9월 테슬라 보다 먼저 픽업트럭 전기차 「R1T」를 시장에 출시했으며 오는 11월 뉴욕증시에 상장을 앞두고 있습니다. 리비안의 예상 시가총액이 800억달러(약 94조7500억원)에 달해 투자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리비안 관련주와 수혜주, 대장주의 기업 실적 및 개요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삼성SDI(006400) / 리비안 대장주
- 전기/전자 부문 2021-03 기준 매출액증가율 22위 당기순이익 증가율 94위 ROE 141위


– 기업소개
케미칼 사업부 매각
- 소형전지, 자동차전지 등의 에너지솔루션 사업부문과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소재 등의 전자재료 사업부문을 영위하고 있음.
- 전지사업 중심의 사업 포트폴리오 구축을 위해 2016년 2월 케미칼 사업부를 물적분할하여 4월 롯데케미칼에 매각하였음.
- 자동차전지 사업은 BMW, 크라이슬러, 마힌드라 등 유럽/북미 주요 OEM 업체를 중심으로 수주를 확보하고 있음.
– 기업현황
외형 성장, 수익성 상승
- 미주 전력 프로젝트 중심의 ESS전지 공급 확대와 전기차전지의 유럽향 수출 호조, 소형전지의 플래그십 스마트폰향 수요 증가 등으로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신장.
- 에너지솔루션 부문의 흑자전환 등으로 영업이익률 전년동기대비 상승하였으며, 외환차손 감소 및 지분법이익 증가 등으로 순이익률도 상승.
- ESS전지의 유럽, 아시아 등 공급처 확대와 자동차전지의 신규 모델 공급 시작, 원형전지의 전동공구, 청소기, 전기자전거용 수요 지속 등으로 외형 성장세 이어갈 듯.
– 재무분석
|
2020.12 |
2021.06 |
매출액 |
112,948 |
62,975 |
영업이익 |
6,713 |
4,284 |
당기순이익 |
5,747 |
4,090 |
시가총액 |
457,972 |
대유에이텍(002880)
- 운수장비 부문 2021-03 기준 매출액증가율 5위 당기순이익 증가율 70위 ROE 140위


– 기업소개
알루미늄 휠 사업부문 물적 분할
- 자동차 시트 제조업을 주력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기아자동차의 광주공장에서 생산되는 모든 차량에 대한 시트를 독점 공급하고 있음.
- 2015년 8월 경영성 제고 및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알루미늄 휠 사업부문을 물적 분할하여 신설기업 대유합금을 설립, 종속기업에 편입하였음.
- 건설업체인 대유금형, 금융업 및 골프장 운영업체인 스마트홀딩스, 가전제품 제조업체인 딤채홀딩스, 주형 및 금형 제조업체인 대유금형 등을 종속기업으로 보유하고 있음.
– 기업현황
영업이익 흑자 전환, 순손실 축소
- 전방 자동차 시장에서 SUV 및 CVD 성장으로 스포티지와 봉고향 SEAT 수주 확대에도 자동차부문이 부진하였으나 가전매출이 큰 폭으로 확대된바 전년동기대비 외형 신장.
- 원가율 하락 및 판관비 부담 완화로 영업이익은 전년동기대비 흑자 전환된 가운데 대규모 파생상품평가이익 반영 등으로 기타수지 저하에도 순손실 규모 큰 폭 축소.
- 백신 보급률 상승에 따라 자동차 시트 부문의 매출 회복이 기대되며 가전제품 부문의 견조한 매출 성장을 바탕으로 외형 신장 및 수익성 개선 추이 이어갈 듯.
– 재무분석
|
2020.12 |
2021.06 |
매출액 |
14,669 |
7,517 |
영업이익 |
472 |
103 |
당기순이익 |
-21 |
-8 |
시가총액 |
1,941 |
대원화성(024890)
- 화학 부문 2021-03 기준 매출액증가율 80위 당기순이익 증가율 160위 ROE 246위
– 기업소개
자동차용 및 전자부품용 합성피혁 개발
- 벽지 및 합성피혁 제조업을 주력으로 영위하며 DMF의 정제 및 임가공업도 일부 영위하고 있음. 주력사업인 합성피혁 부문을 통해 89% 정도의 매출이 발생함.
- 합성피혁의 경우 신발용은 나이키, 아디다스에, ball용은 글로벌 스포츠용품 제조사에 납품되며 자동차용은 도어 트림 등의 내장재로 완성차 업체에 납품됨.
- 종속회사로 베트남, 중국, 미국, 인도네시아 등에 합성피혁 생산 및 판매법인 등을 두고 있으며, 자사주 신탁 MMT를 보유하고 있음.
– 기업현황
자동차용 및 전자부품용 합성피혁 개발
- 국내 건설투자의 회복 지연으로 벽지판매는 부진하였으나 전방 자동차 생산 물량 증가 및 신발용 제품 수요 증가로 합성피혁 부문이 성장한바 전년동기대비 매출 규모 확대.
- 원가율 상승에도 판관비 부담 완화로 영업이익률 전년동기수준을 유지하였으며 기타수지 저하에도 법인세비용 환급 효과 등으로 순이익률 상승.
- 국내 건설투자 확대로 벽지 판매는 회복될 것으로 예상되며, 자동차 및 전기차 생산 증가에 따른 내장재 보급 확대, IT관련 연마패드 수요 증가 등으로 매출 성장 전망.
– 재무분석
|
2020.12 |
2021.06 |
매출액 |
1,088 |
562 |
영업이익 |
3 |
6 |
당기순이익 |
-22 |
7 |
시가총액 |
1,770 |
만도(204320)
- 운수장비 부문 2021-03 기준 매출액증가율 20위 당기순이익 증가율 71위 ROE 126위


– 기업소개
2014년 9월 한라홀딩스로부터 인적 분할
- 2014년 9월 한라홀딩스로부터 인적 분할 현황 : – 2014년 9월 한라홀딩스(존속법인, 지주회사)의 자동차 부품 제조 사업부문이 인적 분할되어 신설법인으로 설립되었음.
- 자동차 제동장치, 조향장치, 현가장치 등을 주로 생산하며 주요 매출처는 현대/기아차, 현대모비스, 현대위아, 글로벌 GM, 중국 현지 완성차 업체 등임.
- 자동차 부품 및 용품 판매와 자동차 부품 기술의 연구개발 등을 영위하는 종속기업을 중국, 미국, 인도, 독일, 브라질, 폴란드, 멕시코 등지에 보유하고 있음.
– 기업현황
외형 신장, 흑자 전환
- 전방 산업 회복으로 제품 고도화 및 고객사 다변화, 북미 전기차 완성차업체의 글로벌 생산 확대, ADAS부문 고성장에 따라 전년동기대비 외형 신장.
- 고부가가치 제품 수주 및 제품 믹스로 원가율 하락과 판관비 부담 완화로 영업이익은 전년동기대비 흑자 전환되었으며 기타수지 개선, 금융원가 감소로 순이익 또한 흑자 전환.
- 전기차 중심의 양호한 신규 수주 확보와 핵심 고객사인 현대그룹차에서의 고도화된 제품 믹스 유지, 만도 헬라 합병, 생산안정화, 폭스바겐그룹 전략적 파트너 선정으로 성장 전망.
– 재무분석
|
2020.12 |
2021.06 |
매출액 |
55,635 |
29,890 |
영업이익 |
887 |
1,485 |
당기순이익 |
58 |
1,274 |
시가총액 |
24,840 |
에코캡(128540)
- 운송장비/부품 부문 2021-03 기준 매출액증가율 31위 당기순이익 증가율 91위 ROE 145위
– 기업소개
친환경 자동차 부품 개발
- 2007년 자동차부품제조 및 판매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자 설립되어 자동차용 전선, 전장의 생산 판매에 집중하면서 사업다각화를 위해 2017년 LED모듈제품 판매, 제조.
- 주요 제품은 전기차(EV)전용 고전압 케이블 등 자동차용 전선과 전선 모듈화 제품인 와이어링 하네스, 벌브 소켓, 발광 다이오드 모듈 등을 생산함.
- 2018년 멕시코 생산공장에 와이어링 하네스 생산라인을 구축한바 2019년 미국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하였으며 2021년 멕시코제조법인에 LED Module 생산라인 구축.
– 기업현황
전장부품 및 전장매출 확대
- 자동차 생산 물량 증가 및 친환경 자동차 시장 성장으로 자동차용 전선과 전장 매출 확대, LED모듈 부문 호조로 상품 매출 제거에도 전년동기대비 외형 신장.
- 원가율의 하락과 판관비 부담 완화로 영업손실폭은 전년동기대비 축소되었으며 기타수지 개선과 법인세비용 환급으로 순이익은 흑자 전환.
- 자동차 생산 물량 확대와 친환경 자동차 시장 성장에 따라 자동차용 전선과 전장 매출 확대, LED모듈 매출 증가로 외형 성장을 통해 수익 개선 이어질 듯.
– 재무분석
|
2020.12 |
2021.06 |
매출액 |
727 |
408 |
영업이익 |
-68 |
-11 |
당기순이익 |
-111 |
-1 |
시가총액 |
1,213 |
동국알앤에스(075970)
- 비금속 부문 2021-03 기준 매출액증가율 6위 당기순이익 증가율 13위 ROE 24위


– 기업소개
공업로용 내화물 생산, 판매업체
- 2004년 1월 제철, 제강 및 기타 공업로용 내화물 제품의 생산 및 판매를 목적으로 동국산업(주)으로부터 인적분할 후 설립되었음.
- 경남 김해시 상동면에 본사를, 김해, 마산에 공장을 두고 있으며, 금화철강, 영구신동내화재료, 동연에스엔티, 치박동국내화재료를 종속기업으로 보유하고 있음.
- 국내 내화물 시장은 조선내화, 포스코켐텍, 한국내화의 상위 3개 기업이 과점하고 있으며, 동사는 상기 업체들에 이어 점유율 4위를 보임.
– 기업현황
매출 증가에도 영업이익률은 하락
- 주력 내화물 수주는 감소하였으나, 단관각관, HGI강 등 종속기업의 철강재 판매가 증가하며 전년동기대비 매출 규모 확대되었음.
- 매출 증가에도 원가율 상승 및 판관비 부담 확대되며 영업이익률은 전년동기대비 하락하였으나, 지분법이익 증가, 법인세비용 감소 등으로 순이익률은 소폭 상승.
- 글로벌 경기 개선으로 전방 철강산업의 생산 증가로 내화물 수요 증가하는 가운데 종속기업의 스틸파이프 수요 역시 증가하며 매출 성장 전망.
– 재무분석
|
2020.12 |
2021.06 |
매출액 |
934 |
517 |
영업이익 |
42 |
27 |
당기순이익 |
30 |
27 |
시가총액 |
1,040 |
엠케이전자(033160)
- 반도체 부문 2021-03 기준 매출액증가율 61위 당기순이익 증가율 135위 ROE 237위


– 기업소개
경쟁력 있는 점유율 확보
- 1982년 12월에 설립되어, 반도체 Package의 핵심부품인 본딩와이어 및 솔더볼 등 전자부품의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함.
- 주력제품인 본딩와이어는 반도체 리드 프레임 혹은 서브스트레이트와 실리콘 칩을 연결하여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부품으로 반도체 생산의 핵심 재료 중 하나임.
- 세계 본딩와이어 시장에서 1위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솔더볼 시장에서도 3위의 점유율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짐.
– 기업현황
매출 성장 및 순이익률 상승
- 글로벌 경기회복세와 전방 반도체 산업의 성장 지속으로 본딩와이어, 증착재료 등 주력제품의 수주 증가하며 전년동기대비 매출 규모 확대.
- 원가율 상승으로 영업이익률 전년동기대비 하락하였으나, 상각채권추심이익 등 영업외수지 증가와 지분법이익 증가로 순이익률은 전년동기대비 상승.
- 전방 반도체 업황의 성장 둔화에도 글로벌 경기 개선과 주요 고객사의 신규 증설 및 추가 설비투자, 2차전지 관련 사업 확대 등으로 매출 성장 전망.
– 재무분석
|
2020.12 |
2021.06 |
매출액 |
8,758 |
4,661 |
영업이익 |
1,110 |
581 |
당기순이익 |
277 |
243 |
시가총액 |
4,056 |
세원(234100)
- 운송장비/부품 부문 2021-03 기준 매출액증가율 49위 당기순이익 증가율 56위 ROE 109위


– 기업소개
2017년 10월 코스닥 이전 상장
- 자동차 부품 등의 제조 및 판매 등을 목적으로 1991년 12월 설립되었으며 2015년 12월 코넥스시장에 상장, 2017년 10월 코스닥 이전 상장.
- 주요 제품은 라디에이터와 에어컨 헤더콘덴서로 주요 제품들의 시장점유율은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바 시장 경쟁력 확보.
- 매출의 대부분은 국내시장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약 80%가 1차 협력업체인 한온시스템(주)에, 그 외에 고산 및 보쉬전장이 주요 매출처임
– 기업현황
외형 축소, 영업이익 적자 전환
- 자동차 생산 물량 증가에 따라 Header Condenser 등의 수요 확대 및 상품 매출 증가에도 전력용 반도체 Wafer 매출 제거 등으로 전년동기대비 외형 축소.
- 원가율 상승 및 판관비 부담 가중으로 영업이익은 전년동기대비 적자 전환되었으나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평가이익 확대로 순이익률 큰 폭 상승.
- 글로벌 전기차 업체향 부품 수주 확대에 따라 국내외 생산설비 증설과 우노앤컴퍼니 인수로 신규 사업을 추진할 예정인바 외형 성장 및 영업수익성 확보할 듯.
– 재무분석
|
2020.12 |
2021.06 |
매출액 |
721 |
325 |
영업이익 |
6.35 |
-1.06 |
당기순이익 |
81 |
74 |
시가총액 |
1,708 |
에코프로비엠(247540)
- 일반전기전자 부문 2021-03 기준 매출액증가율 13위 당기순이익 증가율 57위 ROE 109위
– 기업소개
NCA 양극소재분야 세계 2위 점유율
- 2016년 5월 (주)에코프로의 2차전지소재 사업부문이 물적분할되어 신설되었으며, 충북 청원군 오창산업단지에 본사 및 공장을 두고 있음.
- 주요 제품은 리튬 2차전지의 양극활물질 및 전구체로 2021년 말 기준 월 약 5,000톤의 양극소재 생산능력을 확보할 예정이며, 수요에 대비하여 신증설을 지속하고 있음.
- 글로벌 NCA 양극소재분야에서 스미모토메탈마이닝에 이어 세계 2위의 시장점유율을 확보하고 있으며, 기술력 강화 및 고객 다변화로 시장지배력을 확대하고 있음.
– 기업현황
큰 폭의 외형 신장 및 영업이익률 상승
- 소형가전 및 전기차, ESS 배터리향 양극재 수요 증가와 함께 CAM5 라인의 양산 시작 등으로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크게 성장하였음.
- 큰 폭의 매출 신장 및 CAM5 라인의 가동률 상승 등으로 영업이익률 전년동기대비 상승, 그러나 법인세비용 증가하며 순이익률은 소폭 하락.
- 전방 전기차 시장의 양호한 성장에 따른 양극재 수요 확대와 삼성SDI의 Gen5용 NCA, SK이노베이션의 NCM 매출 본격화 등으로 외형 신장세 이어갈 듯.
– 재무분석
|
2020.12 |
2021.06 |
매출액 |
8,547 |
5,736 |
영업이익 |
548 |
469 |
당기순이익 |
469 |
362 |
시가총액 |
90,308 |
KEC(092220)
- 전기/전자 부문 2021-03 기준 매출액증가율 13위 당기순이익 증가율 58위 ROE 112위


– 기업소개
트랜지스터 생산 및 판매업체
- 동사는 반도체 제품 및 부품 제조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기존법인인 (주)케이이씨(현 (주)한국전자홀딩스)로부터 제조사업부문이 2006년 9월 인적분할되어 설립되었음.
- 주력제품은 SSTR(TC, IC 등)이며, 삼성전자의 갤럭시폰 시리즈, LG전자의 G 시리즈 등에 제품이 채택되어 공급하였음.
- 연결대상 종속기업은 태국법인인 KEC Thailand Co., Ltd.와 중국법인인 Wuxi KEC Semiconductor Co., Ltd.를 보유함.
– 기업현황
양호한 매출 신장, 영업이익 흑자전환
- 전방 스마트폰 산업의 성장 및 주요 고객사향 TR의 국내외 수주 호조에 힘입어 매출 규모는 전년동기대비 확대되었음.
- 양호한 외형 성장에 따른 원가 및 판관비 부담 완화로 영업이익 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파생상품평가이익 발생 등으로 순이익률 크게 상승.
- 테슬라향 반도체 터치스크린 공급 증가와 SiC 전력반도체 사업의 확대가 기대되나 전방 스마트폰 산업의 성장 둔화 등으로 매출 증가폭은 축소될 듯.
– 재무분석
|
2020.12 |
2021.06 |
매출액 |
2,010 |
2,010 |
영업이익 |
-23 |
100 |
당기순이익 |
-453 |
153 |
시가총액 |
2,655 |
LG화학(051910)
- 화학 부문 2021-03 기준 매출액증가율 9위 당기순이익 증가율 97위 ROE 184위


– 기업소개
석유화학제품 및 정보전자소재, 전지사업 등의 영위업체
- 2001년 4월 (주)LGCI(현 (주)LGㆍ구 (주)LG화학)가 분할되어 신설되었으며, 2020년 12월 1일 전지사업부문을 물적 분할 (주)LG에너지솔루션을 설립함.
- 주요 사업인 기초소재산업 부문은 납사 등을 원료로 에틸렌, 프로필렌, 벤젠 등의 기초원료 생산 및 이를 이용한 다양한 합성수지, 합성고무 등을 생산하고 있음.
- 2020년 전지사업부문을 분할하여 (주)LG에너지솔루션을 설립한 데 이어 2021년 LCD편광판 사업 매각 완료 및 여수 제2 NCC Comples 증설을 완료하였음.
– 기업현황
외형 성장, 수익률 상승
- PVC, ABS 스프레드 확대, 여수 증설분 반영으로 석유화학 호조와 중대형 전지 수주잔고 확대로 전지부문 성장, LGES 양극재 판매 증대로 전년동기대비 외형 성장.
- 스프레드 확대 등으로 원가율 하락, 판관비 부담 완화로 영업이익률은 전년동기대비 상승하였으며 금융수지 개선, 중단영업이익 확대에 따라 기타영업외수지 저하에도 순이익률 상승.
- 합성고무 등의 가격 상승, 여수 크래커 증설분 상업 가동으로 물량 증가와 기초유분 자급률 상승, 배터리 소재 비중 확대로 외형 성장 기대되나 GM관련 리콜 비용 부담은 상존.
– 재무분석
|
2020.12 |
2021.06 |
매출액 |
300,765 |
211,062 |
영업이익 |
17,982 |
35,480 |
당기순이익 |
5,126 |
27,970 |
시가총액 |
524,501 |
우신시스템(017370)
- 기계 부문 2021-03 기준 매출액증가율 17위 당기순이익 증가율 59위 ROE 95위
– 기업소개
자동차 차체 설비와 관련한 종합 엔지니어링 업체
- 차체 자동용접라인을 제조하는 차체설비 사업과 자동차 도어, 자동차 안전벨트를 제조하는 자동차부품 사업을 주력으로 영위하고 있음.
- 서울시 영등포구 양평동에 본사 및 시화 1, 2공장, 울산공장 등을 두고 있으며, 국내와 중국, 인도, 미국 등의 종속법인을 보유하고 있음.
- 2016년 7월 1일 마케팅 시너지 창출 및 경영효율성 증대를 위해 종속기업 에이에프에프씨(자동차 내장품 제조업체)를 흡수합병하였음.
– 기업현황
매출 증가에도 적자폭 확대
- 글로벌 경기 회복세 및 전방 자동차 사업의 생산 증가에 따른 차제설비 및 관련 부품의 수주 호조 등으로 매출 규모는 전년동기대비 확대.
- 원재료 매입비용 증가 등에 따른 원가부담 가중으로 영업손실 규모 전년동기대비 확대되었으며, 영업외수지 개선에도 순손실 규모 역시 확대.
- 자동차 산업의 제한적 성장이 예상되나 차체 자동용접라인 설비 부문의 양호한 수주잔고 확보와 한국지엠 등의 추가 수주를 통해 외형 성장 가능할 듯.
– 재무분석
|
2020.12 |
2021.06 |
매출액 |
2,493 |
1,256 |
영업이익 |
-18 |
-170 |
당기순이익 |
-123 |
125 |
시가총액 |
1,053 |
티에스아이(277880)
- 기계/장비 부문 2021-03 기준 매출액증가율 49위 당기순이익 증가율 145위 ROE 231위


– 기업소개
Mixing System 생산
- 2차전지의 활물질, 도전재, 결합재, 용매를 혼합하는 Mixing 시스템의 설계와 장비 제조업을 주력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 분체투입에서부터 코팅 이송까지 자체 제작을 통하여 전자동 시스템 구현 기술력을 보유, Corona Mix에 대한 특허를 보유하는 등 경쟁력 확보.
- 주요 생산제품으로는 Mixing 시스템, PD Mixer, 고속분산기, PTS(Power Transfer System), SOLU Mix, Corona Mix 등이 있음.
– 기업현황
외형 축소 및 적자전환
- 2차전지 시장의 성장에도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등 주요 고객사향 매출인식이 지연됨에 따라 외형은 전년동기대비 축소.
- 외형 축소에 따른 원가구조 저하와 수출경비 증가 등 판관비 부담 가중으로 영업이익 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외화환산이익 증가 및 법인세환급 등에도 순이익 적자전환.
- 국내 배터리 3사의 지속적인 투자가 기대되는 가운데 믹싱시스템 부문의 매출인식 확대와 본격적인 유럽시장 진출 등으로 매출 회복 및 수익성 개선 가능할 듯.
– 재무분석
|
2020.12 |
2021.06 |
매출액 |
457 |
182 |
영업이익 |
-9 |
-19 |
당기순이익 |
-16 |
-5 |
시가총액 |
2,55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