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전용차로는 종류와 시간대별 운행시간이
달라 미리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우리나라에는 교통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서울을 비롯한 많은 곳에서 버스전용차로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운전을 하다보면 하루 종일 버스전용차로인 반면, 어떤 도로는 평일, 혹은 특정 시간대만 버스전용차로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실선과 점선이 겹치는 버스전용차선에서는 의도치 않게 위반을 하게 되 운전자들이 헷갈리는 부분이 있습니다.
고속도로와 시내 도로에서도 시행중인 버스전용차선은 종류별, 시간별로 조금씩 다른데 버스전용차로의 종류와 단속시간 위반시 벌금와 벌점에 대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함께 읽으면 도움이 되는 글 |
글의 순서
버스전용차로란?
버스전용차로는 국가에서 대중교통의 활성화 및 교통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시행한 것으로 우리나라에선 1996년 서울 천호대로에 처음 도입되었으며 2004년 서울 대중교통 개편때부터 본격적으로 도입되기 시작했습니다.
버스의 원활한 소통로를 확보하여 버스 이용률을 높이고 승용차 이용을 자제토록 유도하여, 교통난을 해소하기 위한 교통특별대책입니다.
버스전용차로 운영 가능 차량 외 일반 차량이 버스전용차로를 통행할 경우 주·정차 위반 단속과 달리 일시적 통행만으로도 단속 대상이 될수 있습니다.
버스전용차로의 종류
시내 버스전용차로는 3가지로 구분됩니다.
서울 시내에 설치되어 있는 버스전용차로의 종류는 가로변 쪽 차선을 버스전용차로로 제공하는 가로변 버스전용차로(전일제), 가로변버스차로(시간제), 기존 도로의 중앙차선 부분을 버스 전용으로 제공하는 중앙 버스전용차로로 구분됩니다.
버스전용차로가 처음 도입될 당시에는 초기 비용이 적게 드는 장점으로 가로변 버스전용차로로 도입되었습니다. 그러나 불법 주정차, 택시 승객 승하차, 상점 상품 하차 등 다양한 이유로 가로변에 차를 대는 일반 차량과 버스를 완전히 분리하지 못한 단점이 있습니다.
중앙 버스전용차로는 2004년 서울 대중교통 개편과 더불어 본격적으로 확대 설치되었는데 가로변 버스전용차로보다 버스의 평균적 통행 속도가 향상되었기에 이에 대한 시민들의 만족도도 높은 편입니다.
중앙 버스전용차로는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새롭게 지어지는 버스정류장은 대부분 도로 중앙에 설치되고 있습니다.
서울시내 버스전용차로 운영시간
버스전용차로 운영시간은 종류별로 다릅니다.
버스전용차로는 종류에 따라 운영시간이 다르므로 평상시 잘 구분하고 운전해야 위반을 하지 않습니다.
1. 중앙 버스전용차로
휴일과 관계없이 연중 24시간 내내 버스만 출입할 수 있으며 어떤 경우라도 도로 한복판에 설치된 버스전용차로를 침범하게 되면 바로 버스전용차로 위반 단속대상이 됩니다.
일반 자동차 운전자분들이라면 중앙버스전용차로는 절대 진입해서는 안됩니다.
운영시간대 : 연중 24시간 운영
2. 단선 버스전용구간 (청색 실선 1줄 가로변 버스전용차로)
단선 버스전용구간은 운영된다는 시간을 고지하고 있습니다. 시간은 출근 시간 3시간과 퇴근시간 4시간 총 하루에 7시간동안 버스전용차로 시간이 할당됩니다.
운영시간대 : 오전 7시~10시 (3시간) / 오후 3시 ~ 7시 (4시간)
3.복선 버스전용구간(청색 실선 2줄 가로변 버스전용차로)
복선 버스전용구간은 전일제 운영하고 있습니다. 야간시간을 제외한 낮시간은 모두 버스만 다닐수있는 구간으로 시간은 오전 07:00 ~ 21:00 까지 입니다. 하루14시간 동안 통행이 불가능 하며 오후9시 이후에는 통행이 가능합니다.
운영시간대: 평일 오전 07:00시 ~ 오후 9시까지 (14시간)
중앙 버스전용차로 |
365일 24시간 운영 |
가로변 버스전용차로 전일제 (파란실선 두줄) |
평일 07:00~21:00 (토 일 공휴일 제외) |
가로변 버스전용차로 시간제 (파란실선 한줄) |
평일 07:00~10:00, 17:00~21:00 (토 일 공휴일 제외) |
고속도로와 지방 버스전용차선 운행시간
고속도로 버스전용차선은 구간별로 운행시간이 다릅니다.
1.경부고속도로 버스전용차선 운행시간
- 운영 시행 구간 : 평일 한남대교 남단~ 오산 IC / 주말 공휴일 : 한남대교 남단~ 신탄진 IC
- 운영 시간 : 오전 07:00 ~ 오후 9:00 (14시간)
- 설날,추석 연휴기간 : 한남대교 남단~ 신탄진IC / 아침 7시부터~ 다음날 새벽 1시
- 참고사항 : 단속 카메라에 찍힐때마다 단속과태료와 벌점이 부과
2. 영동고속도로 버스전용차로 시간
- 운영 시행 구간: 신갈 JCT~여주JCT (총 41.4KM구간)
- 운영 시간 : 주말 공휴일 오전 07:00 ~ 21:00 / 명절 연휴 전날 마지막날 07:00 ~ 01:00
경부선도 동일 합니다.
3. 대구 버스전용차로 운행시간
대구광역시 버스전용차로 운행시간을 알아보겠습니다.
- 운행 시행 구간 : 국채보상로와 달구벌대로 중앙대로등 혼잡한곳에서 운행
- 운행시간 : 오전 07:00~09:00(2시간) / 퇴근시간 오후 5:30~7:30 (2시간)
- 운영일자는 월~금 평일에만 운영하며 주말 및 공휴일에는 버스전용차로를 운영하지 않으니 이용하셔도 됩니다.
- 참고사항 : 동대구역네거리 뉴대구맨션 사이길 500m는 24시간동안 운행
4. 부산 버스전용차로 통행시간
부산광역시 버스전용차로 운행시간을 알아보겠습니다.
- 중앙버스 전용차로 : 24시간 365일 평일 주말 공휴일 모두 적용
- 운행시간 : 오전 07:00~09:00(2시간) / 퇴근시간 오후 5:30~8:30 (3시간)
- 전일제를 적용하는 구간에서는 오전 07:00~ 오후 8:30 까지 운영
버스전용차로 가능차량
고속도로와 일반 시내도로에 따라서 운행 가능차량이 구분됩니다.
어떠한 버스전용차로인지에 따라 운영 시간 외에는 모든 차량이 이용할 수 있고, 시간과 관계없이 버스전용차로를 이용할 수 있는 차량도 따로 있습니다.
도로에 따른 버스전용차로 운행 가능 차량
시내버스전용차로 통행 가능 차량 : 36인승 이상 대형승합차, 어린이 통학버스, 36인승 미만 마을버스
고속도로 버스전용차로 통행 가능 차량 : 6명 이상 탑승한 12인승 승합차, 9인승 이상 승합차승〮용차
모든 버스전용차로 통행 가능 차량 : 경찰 임무, 가스/전기 응급 작업 등 긴급 용도로 운행되는 차량
위반시 벌금과 벌점
도로교통법 시행령 제88조 제4항에 따라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통행이 허용되지 않은 차량이 버스전용차로에 침범 및 통행하여 위반을 할 경우, 차로 내 주정차를 할 경우 단속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도로교통법 시행령 제88조 제4항에 따라 과태료가 부과되며 도로 유형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1. 일반도로
벌점 10점, 이륜 자동차 4만원, 승용차 5만원, 승합차는 6만원의 과태료가 부과
2. 고속도로
벌점 30점, 승용차 6만원, 승합차 7만원의 범칙금이 부과
고속도로 버스전용차로 위반 과태료는 일반 도로보다 더 높은 비용을 지불해야 합니다.
벌점은 30점에 승용차 6만원 승합차 7만원의 과태료를 납부하셔야 합니다. 평일에는 버스전용차로에 승용차 승합차 모두 운행이 가능하며 공휴일과 주말에만 운영합니다.
버스전용차로 위반 조회
버스전용차선 위반 조회는 서울특별시 단속조회민원시스템 사이트 https://cartax.seoul.go.kr 에서 가능합니다.
- 전용차로 단속조회>개인소유 차량조회>차량번호 입력 후 본인인증
서울특별시내의 버스전용차선 위반 단속자료에 한하여 조회가 가능하며 고속도로 버스전용차선 위반 조회는 조회목록에 링크된 자치구 홈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
납부 마감일 이후 최초 월 3%, 그 후 매월 1.2% 가산금이 부과되며 75%까지 가산금이 추가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 도움이 되는 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