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일, 6월 4, 2023
Home재테크연말정산 신용카드 소득공제 꿀팁!

연말정산 신용카드 소득공제 꿀팁!

연말정산 신용카드 소득공제 이렇게 하세요!

연말정산 신용카드 소득공제 시 알아두면 좋은 꿀팁을 알려드립니다!

연말정산의 시간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많은 직장인들은 조금이라도 더 공제를 받기위해 이것저것 체크해야 할 사항들이 있습니다.

직장인들에게 13월의 보너스인 연말정산에서 조금이라도 더 많은 공제와 환급을 많이 받기 위해 꼭 알아야 할 꿀 정보를 간단히 핵심만 뽑아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함께 읽으면 도움이 되는 글

신용카드 소득공제란?

신용카드온라인결제

신용카드 소득공제란 과세대상이되는 소득액 결정을 위해 총소득에서 법으로 정하여진 금액을 제외하는 것입니다.

카드 사용금액은 신용카드, 직불카드, 선불카드, 현금영수증 사용금액 등이 있습니다.

신용카드는 사용금액이 당해연도 총 급여액의 25%를 초과하는 경우 그 초과사용금액의 20% (체크·직불카드는 30%)와 총 급여액의 20% 중 적은 금액을 연간 300만원 한도 내에서 공제합니다.

아래 글에서 신용카드 소득공제 시 꼭 기억해야 할 꿀팁 3가지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신용카드 소득공제 1연 소득의 25%

연말정산을 받으려면 1년간 카드 사용금액이 연 소득의 25%를 초과해야 합니다. 자신이 직장에서 지급받는 연봉의 25%가 넘는 금액부터 신용 및 체크카드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ex) 연봉 4천만원인 직장인이 년간 카드 소비금액이 1500만원이라면 연봉의 25%인 1000만원 초과분인 500만원 부터 소득공제 가능

신한카드 삼성카드 현대카드 롯데카드
BC카드 하나카드 KB국민카드 NH농협카드

신용카드별 소득공제율 비교

많은 분들이 아시듯이 신용카드와 체크카드는 연말정산 소득공제율이 다르기 때문에 체크 카드 사용을 권하고 있습니다.

소득공제율은 신용카드가 15%, 체크카드가 30%입니다. 단순히 소득공제율로만 체크카드 사용이 더 이득인 것으로 보이지만, 연소득 25% 금액을 초과하는지에 대한 여부에 따라 결과는 다르게 나올 수 있습니다.

[연봉 4천만원 직장인의 연간 카드 소비액이 2000만원인 경우]

① 연간 카드소비액이 연봉의 25% = 1000만원이 초과, 초과분 1000만원부터 카드소득공제 대상.

② 1000만원이 신용카드 결제금액이라면, 공제율 15% 적용: 150만원이 소득공제대상.

③ 1000만원이 체크카드 결제금액이라면, 공제율 30% 적용: 300만원이 소득공제대상

▶공제율이 높은 체크카드가 유리

[연봉 4천만원 직장인의 연간 카드 소비액이 750만원인 경우]

① 연간 카드소비액이 연봉의 25% = 1000만원에 미달, 카드소득공제를 받을 수 없음

② 카드소득공제를 받을 수 없기에 공제율이 의미 없음

▶ 혜택이 많은 신용카드 사용이 유리

국세청에서 공제를 할 때 결제 순서에 상관없이 신용카드 사용 금액을 먼저 공제 합니다.

따라서 연 소득의 25% 까지는 할인폭이 넓고 포인트 적립등과 같은 부가적인 혜택이 많은 신용카드를 먼저 쓰는 것이 유리합니다.

연소득이 25%가 초과되는 시점부터는 소득공제율이 높은 체크카드나 선불충전카드, 지역화폐등을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선불카드와 지역화폐, 현금결제 등의 소득공제율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선불카드, 지역화폐 30%
현금영수증 30%
전통시장 및 제로페이 40%

[최대 300만원]

신용카드 소득공제는 소득공제 한도가 있습니다.

연봉의 25% 초과한 모든 신용카드 사용금액을 공제 하는 것이 아니라 급여액에 따라 한도가 달라집니다. 급여액에 따른 소득공제 한도는 아래 표와 같습니다.

7천만원 이하 300만원 한도
7천만원 초과 ~ 1억 2천 이하 250만원 한도
1억 2천 초과 200만원 한도

신용카드 소득공제 제외항목

통신비, 공과금, 아파트관리비, 세금, 해외결제금액, 자동차리스, 현금서비스, 신차 구입 등은 신용카드 소득공제에서 제외됩니다. 이를 확인하시고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도움이 되는 정보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 Advertisment -
- Advertisment -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