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요일, 12월 2, 2023
Home정책2023년 4대보험요율 알려드립니다.

2023년 4대보험요율 알려드립니다.

4대보험유율 올해 공제율 알려드립니다. 

2023년 4대보험유율 확인하세요!

직장을 다니게 되면 누구나 4대보험을 가입하게 되는데요. 연봉, 월급에 따른 실수령액을 계산하려면 4대 보험료 등을 제외하여야 합니다.

공제 항목에는국민연금, 건강보험과 장기요양보험, 고용보험 등이 있는데요. 어느 보험에서 얼마나 공제될까요?

오늘은 2023년 4대보험요율 및 간편계산기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함께 읽으면 도움이 되는 글

사회보장제도와 4대보험

클로버

사회보장제도는 국민이 안정적인 삶을 영위하는 데 위험이 되는 빈곤이나 질병, 생활 불안 등에 대해 국가적인 부담 또는 보험 방법에 의하여 행하는 국민을 위한 사회안전망을 말합니다.

이 사회보장 제도 안에 4대 사회보험이 들어가 있습니다

4대보험이 종류에는 연금보험,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이 네 가지로 나뉩니다.

2023년 4대보험요율

2023년 4대보험요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2022년 2023년 근로자부담 사업자 부담
국민연금 9% 9% 4.50% 4.50%
건강보험 6.99% 7.09% 3.545% 3.54%
장기요양보험 12.27% 건강보험료의 12.81%
고용보험 1.80% 1.80% 0.90% 0.90%
산재보험 업종별 상이

국민연금 9% 동결

국민연금은 노후 대비를 위한 사회보험제도 중 하나로 18세 이상 60세 미만이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합니다. 4대 보험료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국민연금입니다.

2022년 총 보험요율은 9%, 근로자와 사업자 부담요율이 각각 4.50%였으며 2023년에도 보험요율이 동결되어 9%로 유지될 예정입니다.

건강 보험요율

현재 건강 보험요율은 매년 인상되고 있습니다.

2022년 6.99%에서 2023년 7.09%로 인상됩니다. 개정 시행령은 2023년 1월 1일부터로, 2023년부터 급여가 인상된다면 적용하여 계산하여야 합니다.

지역가입자의 경우, 소득점수에서 부과점수당 금액이 3.1원 인상률입니다.

장기요양보험요율은 기존에는 건강보험료에 12.27%를 곱한 금액이었다면, 2023년부터는 12.81%를 곱하여 금액을 산정됩니다.

고용 보험요율

고용보험은 직장인이 실직을 할 경우 새로운 직장을 얻을 때까지 생계를 위해 받을 수 있는 사회보험입니다.

2023년 고용보험은 2022년에 1.8%로 변동되었기 때문에 2023년까지 유지될 것으로 보입니다.

보험료는 근로자와 사업주가 각각 50%씩 나누어 부담하며 사업주만 부담하는 요율로는 직업 능력 개발부담금, 고용안전으로 인원에 따라 차등 부담한답니다.

사업주의 경우는 근로자 수 등에 따라 추가로 더 납부를 합니다.

산재보험요율

산재보험요율은 업종에 따라 다른데  업종 평균 1.43%입니다.

산재보험은 근로자는 납부하지 않고 사업주가 납부합니다.

산재보험요율은 국민연금과 마찬가지로 2023년에는 동결될 예정입니다

4대보험 간편계산기

4대보험료는 간편계산기로 간단하게 계산이 가능하며 신고소득월액에는 비과세금액을 제외한 과세금액만 입력하면 간편하게 계산됩니다.

2023년부터 식대는 월 20만원까지 비과세로 2022년에 비해 10만원에서 20만원으로 상향되었습니다. 4대보험 계산기의 자세한 내용은 아래글을 참고하세요

도움이 되는 정보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 Advertisment -
- Advertisment -
error: Content is protected !!